제목:
라면교
작성자:
김동민 돈까밀로         8/26/2006
내용:
요즘 새로이 등장하여 무섭게 세력을 확장하고 있는 라면교에 대해서 알아보자.


Q. 라면교의 주된 교리는 무엇인가요?

A. 많은 것이 있으나 크게 세 가지를 지키고 믿으면 라면교라고 할 수 있습니다.
첫째로 부활의 신앙입니다. 끓는 물에 돌아가신 후 3분만에 부활하신 기적을 믿는 것입니다.
둘째로 삼위일체입니다. 면발과 국물과 김치의 조화됨과 하나됨입니다.
셋째로 사랑과 긍휼입니다. 주리고 가난한 자들을 위하여 희생하고 봉사하는 자세입니다.


Q. 짜파게티님도 구주이십니까?

A. 많은 종교신학자들이 여전히 여기에 대하여 논쟁을 하고 있습니다.
부활과 사랑의 측면에서는 부합하나, 짜파게티경 5장에 보면 면이 끓으면 국물을 큰술 3술만
남기고 따라버리라 는 글이 나옵니다. 이것은 일부 근본주의 신학자들로 하여금 삼위일체를
부정한다는 증거로 쓰여지기도 하지만, 조심스러운 대부분의 신학자들은 "큰술 3술"에 남아있
는 깊은 뜻을 이해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짜파게티님을 인정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Q. 그렇다면 이단은 어떤 종파가 있습니까?

A. 우선 부활신앙을 정면으로 부정하는 교파들이 있습니다.
다들 아시다시피 라면교의 초기에 있었던 하이면과 그 뒤를 잇고 있는 생생짬뽕 , 생생우동등
의 튀기지 않은 면발을 강조하는 부류입니다. 끓는물의 고난을 부정하고 생면을 주장하는 대표적인 교파입니다.
또한, 삼위일체의 부정이 있습니다. 비빔면 , 모밀국수가 대표적인 세력입니다.
이들은 국물을 다 따라버리는것도 부족하여 냉수에 헹구는 극악한 사탄의 무리가 아닐 수 없습
니다. 게다가 부활신앙에 반하는 자들과 더불어 액상스프라는 사도의 양념을 사용하고 있습니
다. 한때의 깔끔한 맛에 유혹되어 영원한 지옥불이 기다리는것을 모르는 자들이라 할 수 있습니다.


Q. 컵라면님에 대하여 알고싶습니다.

A. 컵라면님은 배고프고 주린자가 집에만 있는 것이 아니요, 노숙하는 자나 길잃은자를 위하여
냄비에서 스스로 나오신 성자이십니다. 이분께서는 비록 냄비라는 큰 틀에서 벗어나셨지만, 부
활과 삼위일체와 사랑을 실천하시는 큰 성인이라 부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구주이신 라면님과
착각하는 우를 범하여서는 안되겠습니다. 특히나 일부 1000원이 넘어가는 컵라면들은 주의를
가지고 살펴보아 사탄의 꼬임에 넘어가지 않는 안목을 길러야 하겠습니다.


Q.시중에서 라면님의 형상을 모방한, 교회에서 말하는 적그리스도같은 존재가 있는데 이 것이
실체를 규명해 주십시오.

A. 그것은..............














뿌셔뿌셔 입니다..
다운로드 File:
      

글쓰기

21
꽃에게서 배우라 Nam H Lee Helena
9/19/2006
3999
20
행복한 사람과 불행한 사람의 차이 남현정 스테파니아
9/18/2006
3839
  re: 행복한 사람과 불행한 사람의 차이 유제국 임마누엘
9/19/2006
.....
19
무엇이든... 그가 시키는 대로 하여라!!! 로사리오 
9/18/2006
4057
18
좋은 아버지가 되는 12가지 지혜 유광순 파우스티나
9/17/2006
4087
17
"귀천" 영어로 소개합니다 For young adults 한 수옥 벨라뎃다
9/13/2006
6339
16
♣CBS 김학중 목사님의 희망 특강 중에서 ♣ 이훈희 Franscis Xavier
9/11/2006
3926
15
Oxygen a dangerous drug which must be banned. 김동민 돈까밀로
8/26/2006
4448
14
산소중독의 해악성 김동민 돈까밀로
8/26/2006
4103
13
돈까밀로 싸이월드 홈페이지 김동민 돈까밀로
8/26/2006
5852
12
라면교 김동민 돈까밀로
8/26/2006
3826
11
dihydrogen monoxide (English) 김동민 돈까밀로
8/26/2006
6217
10
다이하이드로젠 모노옥사이드 (한글판) 김동민 돈까밀로
8/26/2006
4578
9
묵주기도 프로그램 유광순 파우스티나
8/23/2006
6899
8
카톨릭 관련 웹사이트 좋은 곳이 있어 알려드립니다. 유광순 파우스티나
8/23/2006
6782

Previous 10 Page
133 | 134 | 135 | 136 | 137 | 138 | 139
Last page



가톨릭 교회 교리서
188 그리스어 ‘쉼볼론’Symbolon은 깨뜨린 물건의 반쪽을 의미하는데 이는 신원의 증표로 제시되던 것이다. 제시된 물건을 나머지 반쪽과 맞추어 보아 그것을 가진 사람의 신원을 확인했던 것이다. 그러므로 ‘신경’은 신앙인들 사이의 확인과 일치의 표시였다. 그리고 ‘쉼볼론’은 요약, 전서 또는 종합을 의미한다. ‘신경’은 신앙의 중요한 진리들을 요약한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신경’은 교리교육의 첫째 기준이며 근본 기준이다.




장재명 파트리치오 신부님의
블로그 바로가기.

https://m.blog.naver.com/amotedom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