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거룩함에 헌신해야 하는 이들_Facebook에 Jinwoo Ma신부님의 글
작성자:
sung hwan james         12/31/2015
내용:

거룩함에 헌신해야 하는 이들

 

자신이 사제이고 수도자인데도 신앙 이야기를 하는 것을 어색하게 생각하는 이들이 있습니다. 그래서 그들이 모이면 하는 이야기는 참으로 세속적인 관심사가 됩니다. 자신이 하는 취미 활동이나 자신이 보는 드라마 이야기를 더 맛깔스럽게 하고 서로 관심있게 대화를 주고 받는 모습을 때로는 볼 수 있게 됩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없는 것을 줄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자신에게 존재하지 않는 것을 남에게 내어줄 수는 없습니다. 인간은 손에 쥔 것만 지니고 있는 게 아니라 자신의 내면에도 많은 것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 내면에 가득 안고 있는 것을 말과 행동으로 남에게 내어주는 것이지요. 내면에 하느님에 대한 열정이 없고 세상 것을 향한 욕구가 가득한데 자신에게 없는 것에 대한 이야기를 꾸준히 할 도리는 없는 것입니다.

길 잃은 양들이 그럴 수는 있습니다. 아무도 그들을 이끌지 않았거나 그들이 잘못된 길에 접어들어서 아직 빛을 올바로 체험하지 못했기 때문에 그럴 수 있지요. 헌데 양들을 이끌어야 하는 직무를 맡은 이들, 오로지 주님 안에 봉헌된 삶을 살기로 다짐한 이들이 그러는 것은 분명한 직무유기입니다.

취미생활을 해서는 안되고 드라마를 보아서는 안된다는 이야기가 아닙니다. 우리는 충분한 휴식을 누리기도 해야 하고 기분 전환을 하기도 해야 합니다. 그러나 그 모든 것들은 우리가 열심히 일을 하고 육신과 영혼이 지칠 때에 그렇게 할 수 있는 것이지  원래 해야 할 일을 전혀 하지 않고 그것만 하라는 것은 아닙니다.

여기서 하나 더 짚고 넘어가야 할 일이 있습니다. 원래 해야 하는 일을 형식적이고 사무적인 일로 바꿔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사제와 수도자로서 우리가 원래 해야 하는 일이라는 것은 ‘성화’의 직무입니다. 우리는 하느님을 보다 더 사랑하고 그분과 온전히 일치되어 있으면서 만나는 이들에게 그 ‘거룩함’을 나누어 주어야 하는 것이지요. 단순히 사제로서 미사 경문을 읽는 것이나 수도자로서 때맞춰 성무일도를 바치러 경당에 들어가는 것으로 그 직무를 다하고 있다고 생각해서는 안됩니다.

참으로 쉽지 않은 일입니다. 그러나 바로 그 쉽지 않은 이유 때문에 우리는 결심을 굳혔고 하느님에게 우리를 내어 바치기로 결심한 것입니다.
 
 
다운로드 File:
      

글쓰기

1654
사랑-Facebook에 Jinwoo Ma 신부님의 글 sung hwan james
1/10/2016
1677
1653
빛- Facebook에 Jinwoo Ma 신부님의 글 sung hwan james
1/10/2016
1645
1652
1월 10일 복음묵상 sung hwan james
1/9/2016
1654
1651
성령과 불의 세례-Facebook에 Jinwoo Ma 신부님의 글 sung hwan james
1/9/2016
1744
1650
경외와 의로운 일-Facebook에 Jinwoo Ma 신부님의 글 sung hwan james
1/9/2016
1678
1649
1월 9일 복음묵상 sung hwan james
1/8/2016
1728
1648
신앙교육과 기도- Facebook에 Jinwoo Ma 신부님의 글 sung hwan james
1/8/2016
1741
1647
하느님의 일-Facebook에 Jinwoo Ma 신부님의 글 sung hwan james
1/7/2016
1847
1646
세상에 속한 이들-Facebook에 Jinwoo Ma 신부님의 글 sung hwan james
1/6/2016
1759
1645
우월성-Facebook에 Jinwoo Ma 신부님의 글 sung hwan james
1/6/2016
1824
1644
1월 6일 독서묵상 sung hwan james
1/6/2016
1767
1643
우리가 마지막 죽음의 순간에-Facebook 에 Jinwoo Ma신부님의 글 sung hwan james
1/5/2016
1760
1642
영적 목마름과 황폐함-Facebook에 Jinwoo Ma 신부님의 글 sung hwan james
1/4/2016
1875
1641
이야기를 들어주는 사람-Facebook에 Jinwoo Ma 신부님의 글 sung hwan james
12/31/2015
1843
1640
빛과 어둠-Facebook에 Jinwoo Ma신부님의 글 sung hwan james
12/31/2015
1877

Previous 10 Page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Next 10 Page Last page



가톨릭 교회 교리서
239 하느님을 ‘아버지’라고 부름으로써 신앙의 언어는 주로 두 가지 측면을 가리킨다. 먼저 하느님께서는 만물의 근원이시고 초월적인 권위를 지니셨으며 동시에 당신의 모든 자녀를 자비와 사랑으로 보살피신다는 점이다. 하느님의 부성은 또한 모성의 모습으로 표현될 수도 있는데 이는 하느님의 내재성 그리고 하느님과 당신 피조물 사이의 친밀성에 더 주목하여 가리키는 것이다. 이처럼 신앙의 언어도 부모들에 대한 인간적 경험에서 도움을 얻는다. 그러나 이러한 경험은 인간인 부모들이 그릇될 수도 있으며 부성과 모성의 모습을 왜곡할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그러므로 하느님께서는 인간의 성별을 초월하신다는 사실을 상기하는 것이 마땅하다. 그분은 남자도 여자도 아닌 하느님이시다. 그분은 인간적인 부성과 모성의 근원이며 척도이시면서도 이를 초월하신다. 아무도 하느님 ‘아버지’와 같은 아버지일 수 없다.




장재명 파트리치오 신부님의
블로그 바로가기.

https://m.blog.naver.com/amotedomine